유수의 방향에 직각으로 배열
유수의 방향에 직각으로 배열
그림 6.4 단암 상질 역의 마모에 대한 내구성 실현 계기, 양상에 따라 크게 네 가지의 내구성 정도 금으로 나다.
을 갖는 매체에 의해 운반 · 퇴적되었기 때문이다. 준역암에서는 기질의 분급도 역시 중요하다. 유빙에 의해 운반되는 조립질 역들은 대세로 분급이 좋고, 얇게 엽 층리를 이루고 있는 퇴적층의 기질 내에 분포한다. 반면에 암설류와 빙하에 의해 운반 · 퇴적된 기질 퇴적물은 조립질 입자처럼 분퇴적 작용이 진행되는 동안 남아 있다면 역암 내에서 조립 질의 쇄설성 입자로 나타날 수 있다. 이 역들은 퇴적물을 공급한 기원암의 해석에 있어서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즉, 역들은 어떤 종류의 쇄설성 물질이든 간에 기원암을 곧바로 지시하며, 이들이 쌓인 퇴적 환경에서의 에너지 정도를 나타낸다. 역의 종류는 암상의 성인으로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화산암, 심성암, 변성암 및 퇴적암이 모두 역을 공급하고 이들 구성 암상 별 역의 함유량에 따라 역암은 두 가지로 나뉜다. 역이 한 종류의 암상으로만 구성되었을 때에는 단암상(oligomicie) 역암이라고 하며, 둘 이상의 암상으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복암 상질(polymichier) 역암이라고 한다. 역의 암상은 대체로 역을 공급하는 기원지에서의 암상 분포, 역의 원래 크기, 역의 운반 거리와 역암 내에 존재하는 역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역암은 석영, 규암, 석영질 사암, 처어트 등과 같이 안정된 광물과 내구성이 높은 종류의 암석 역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 역들은 기원지가 원래 이러한 종류의 암석으로만 구성되어 있을 경우이거나 혹은 기원지에 여러 가지 암상이 존재하였으나 기원지에서 유래된 불안정한 암상의 역이 운반 · 퇴적되는 도중에 완전히 제거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기도 한다. 또한, 역암에는 물성으로 보아 안정한 것에서 불안정한 것까지 다양한 종류의 암상이 역으로 함께 들어있는 경우도 관찰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암상을 나타내는 역의 존재는 불안정한 암석도 기원지 암석으로 존재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원지에서의 풍화작용과 역으로서 운반 작용, 퇴적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이들의 작용이 불안정한 암상의 역을 제거하지 못할 정도로 영향력이 약했거나, 이들을 제대할 정도로 장시간 작용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역암을 물성이 강한 역으로 구성여 성숙된 역암과 물성이 다양한 암석의 역으로 이루어진 미성숙된 역암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야외에서 역암의 명명은 입자의 크기와 역암 내에 존재하는 역의 종류나 그 중요성에 따라 구분한다. 예를 들면, 석영자 역암(quart pebble conglomerate)이나 화강암거력 역암(gramile boulderconglomerate), 석회암력 역암(limestone cobble conglomerate) 등과 같이 명명한다. 서로 다른 종류의 암상이 역으로 존재할 경우에는 이들의 상대적 크기나 모양에 주의하여 관찰해야 한다. 만약에 이들 모두가 같은 기원지에서 공급되었다면 역의 크기 및 산출 정도는 암상의 마모에 대한 내구성 (stersion durability)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내구성이 좋으며, 규산질 유문암과 규암, 그리고 처어트는 내구성이 아주 좋다. 그러나 화학적으로나 역학적으로 내구성이 낮은 역이 이들과 함께 나타나는 내구성이 큰 역들보다 그 크기가 크다면, (그림 6.5) 이들 역들은 모두가 동일한 기원지에서 공급되지 않았으며, 내구성이 낮은로 하부에 부정합으로 놓인 홍제사 화강편마암에서 유래된 기원지에서 유래되어 쌓일 때 섞였다는 것 것으로 규암 억보다는 그 크기가 크다(강원도 태백)을 지시한다.
역의 암상에서 퇴적암의 역은 퇴적암이 어느 정도 변성을 받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결정질 기반암의 역에 비하여 내구성이 낮기 때문에 비록 퇴적암의 역이 공급된다. 하더라도 퇴적된 역은 대체로 결정질 암석의 역으로만 이루어진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렇지만 결정질 암석에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역은 모래 크기의 광물 입자로 쉽게 분리가 일어나므로 화강암 역은 실 제을 이론 암상의 마모 작용 실험(그림 6.4)에 의해 밝혀진 단암 상질들의 내구성은 크게 네 그름으로 나뉜다 (Abbot and Peterson, 1978), 대리암과 편암은 약한 내구성을 나타내며, 현무암, 화강섬록암, 편마암과 반려암은 보통 정도의 내구성을, 혹 요암(obsidian), 변성 사암과 변성 각력암은 52 제3부 쇄설성 퇴적암의 분류, 조성 속성 작용 및 퇴적 환경의 존재보다 적게 나타날 수가 있다. 이에
제6장 역임과 사람 163
그림 6.6 역암에 발달된 판상 사층리, 상기 Chinle(미국 애리조나 주따라 역암 내에 존재하는 역의 암상 비율은 그림 67 망상 하천 , 노르웨이 스바드 Longpearbyeon. 기원지에 실제로 노출된 암석의 상대적 분포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만 가능하다. 6.1.4 기질 모래 입자의 성분 모래 크기의 물질은 성분과는 관계없이 역들의 빈 공간을 채우는 가장 흔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기질의 모래 성분과 역의 암석 종류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으나, 기질의 모래가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생물체 화석 파편일 경우에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모래는 함께 나타나는 역에 비해서 성숙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난다. 즉, 석영의 역으로 구성된 역암은 기질에 장석의 모래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도 한다. 이는 모래 크기의 입자가 단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복합 광물로 이루어진 역에 비하면 운반 중 마모 작용이나 충격에 대해서 역학적으로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다. 화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판상 홍수의 역암에는 층리가 비교적 미약한 것에서부터 잘 발달되는 것까지 나타나는 편이다. 역은 보통 장축이 유수의 방향에 직각으로 배열되며 상류를 향하여 인면 구조를 나타낸다. (2) 하천 유수 역암(streamflowconglomerate) 하성 환경의 깊은 하천에 국한되어 흐르는 유수에 의하여 쌓인 것이다. 역암은 대체로 역 지지 조직을 나타내며, 실/모래의 기질은 다양한 양으로 산출된다. 이 역암 역시 단 모드의 역 배열 방향을 나타내며, 대부분이 장축이 유수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상류를 향한 인편 구조를 나타낸다. 역의 크기는 보통 정도이며, 역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원마도를 가진다. 이 역암들은 사층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림 6.8 파도 재동 해민 역 독일 북부 Kell의 해 6.1.5 퇴적 구조 제5장에서 기술한 많은 퇴적 구조들은 역암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역암은 많은 경우 퇴적 구조가 나타나지 않는 괴상을 나타내는데, 일부는 미약하거나 잘 발달된 평판 층리나 경사진 층리가 관찰되기도 한다. 또한 하성 역암에서는 관상 사층리(그림 6.6)와 트라프 사층리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사암에 비해 그 빈도가 훨씬 약하다. 간혹 자갈로 채워진 깎임 구조와 하천구조 그리고 자갈의 렌즈 구조로 나타나기도 한다.. 6 퇴적 환경 암이 쌓이는 퇴적 환경에 따라 역암은 다음의 9가지로 나뉜다. 여기에는 판상 홍수(망상 하천) 역암, 하천 유수 여암. 파도 재동 역암. 파도 폭풍 해류에 의한 역암, 조수 재동 역암, 방수에 의한 역암, 수중 융빙수 역암, 육상 암설류 역암과 재 퇴적된 역암이다. 재 퇴적된 역암은 다시 수중 암설류 역암, 수중 입자류 역암과 저 탁암 역암으로 더 나누어진다. 이들 각각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 파도재동 역암(wave-reworked conglomerate)이 역암은 하천에 의하거나 해안의 침식으로 공급되는 역들을 운반하고 재동 시킬 수 있는 충분한 파도 에너지를 가지는 해안선 환경에 쌓인 것이다(그림 6.8), 역들은 쇄파대 (surf zone)에서 끊임없이 재동이 일어나므로 분급이 아주 좋고 원마도 역시 아주 좋은 역암층이 쌓인다. 역층은 역 지지 조직을 나타내고 모래 기질이 나타난다. 해빈의 역암은 특징적으로 판판한 형태(disc-shaped)의 역이 많이 나타나는데, 역들의 분급 역시 좋은 편이다. 이 판판한 역들은 바다 쪽으로 경사가 진 인구 조가 잘 발달하며 완만하게 바다 쪽으로 기울어진 충리를 나타낸다. (4) 파도 폭풍 해류(해안 전면과 대륙붕)에 의한 역암(wave, storm, and current-worked conglomerale)이 역암은 해안 전면과 대륙붕에 쌓인 것으로 역은 파도와 연안류 그리고 이안류(nip cument)에 의하여 재동 된다. 이 환경에 쌓인 역암은 분급이 불량하거나 보통 정도이며, 조직 또한 역 지지에서 기질 지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각 역암층은 하부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두께는 대략 1m 내외가 된다. 역들은 특징적으로 두 개의 모드로 나타나는 기울어진 방향을 나타낸다. 해안 전면의 역암은 자갈이 주를 이루거나 주로 모래로 되어 있으면서 얇은 두께의 역층이 사이에 끼어서 발달하기도 한다.(1) 2484194044) 98 sheetfood braided-stream) conglomerate) 안은 망상 하전에 퇴적된 것으로(그림 6.7) 망상 하천에서 유수의 에너지는 비교적 높으며, 유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감소한다. 이 역암은 주로 역 지지 조직을 나타내며 기질로는 실트와 모래가 있다. 각 역암층은 대체로 점이층리가 나타나지 않지만, 수직적인 역암층의 기록에는 상향 세립